삼성전자 시스템 에어컨 에러 코드 해결 가이드 🔧
삼성전자 시스템 에어컨은 첨단 히트펌프 기술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지만, 사용 중 에러 코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에러는 간단한 조치로 해결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발생하는 삼성전자 에러 코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으니, 이러한 문제를 참고하여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 보세요!
1️⃣ 시스템 에어컨 개요 🌬
에러코드는 시스템 에어컨이 정상 동작을 방해하는 문제를 감지했을 때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센서 이상, 통신 오류, 냉매 누출, 팬 동작 불량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전원 상태 확인: 에어컨 실외기 전원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누전 차단기 등) 먼저 점검하세요.
- 🔄 기본 초기화 시도: 전원을 껐다가 5~10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켜면 일시적 오류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 ⚠ 지속 에러: 동일 코드가 반복되면 아래 전체 리스트의 원인·조치방법을 참고하거나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
2️⃣ 에러 코드 별 조치 사항 🛠
🚧 아래는 삼성전자 시스템 에어컨에서 자주 발생하는 에러 코드와 그 해결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각 코드별로 원인과 조치 방법을 간단히 정리했으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 100번 ~ 1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에어컨의 100번 ~ 199번 점검코드에 대한 예상 원인과 조치 방법입니다.
- C103, E103
예상 원인: 실내기 표시부 회로와 메인 회로가 통신을 하지 못할 때
조치 안내: 실내기 전원 코드를 뺐다 꽂아 초기화. 그래도 안되면 점검 필요. - C104, E104
예상 원인: 가스식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와 중앙제어기가 통신 불가
조치 안내: 분전반 누전 차단기 내려 제품 초기화. 반복 시 점검 요청. - C105, E105
예상 원인: 실내기 카메라 또는 네트워크 부품과 내부 회로 간 신호 전달 실패
조치 안내: 실내기 전원 코드 재연결. 안 되면 점검 필요. - C106, E106
예상 원인: 실내기 터치식 화면과 내부 회로 간 신호 전달 실패
조치 안내: 실내기 전원 코드 뺐다 꽂기. 해결 안 되면 점검. - C107, E107
예상 원인: 터치 화면 입력 신호가 실외기로 전달되지 못함
조치 안내: 실외기 전원 확인 후 초기화. 계속 발생 시 전문가 점검. - C108, E108
예상 원인: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에 설정된 고유 주소 중복
조치 안내: 설치점 또는 시스템 에어컨 관리자에게 문의. - C109, E109
예상 원인: 실내기가 설정된 댓수만큼 추적되지 않음
조치 안내: 분전반에서 전원 초기화 후 반복 시 전문가 점검. - C110, E110
예상 원인: 하이드로 유니트(보일러)와 조작 패널 간 통신 불가
조치 안내: 누전 차단기 내려 제품 초기화. 해결 안 되면 전문가 문의. - C121, E121
예상 원인: 실내기 실내 온도 측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내기 전원 코드 재연결 후 점검. - C122, E122, C123, E123, C125, E125, C144, E144, C145, E145
예상 원인: 실내기 열교환기 배관 표면 온도 센서 동작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연결, 안 되면 서비스 신청. - C126, E126
예상 원인: 실내기가 배출하는 냉기의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내기 전원 껐다 켜기. 해결 안되면 점검. - C127, E127
예상 원인: 가스식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의 실내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누전 차단기 내려 초기화, 반복 시 점검. - C128, E128, C129, E129, C130, E130, C147, E147, C148, E148
예상 원인: 실내기 열교환기 에어컨 가스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탈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계속 발생 시 전문가 점검. - C134, E134, C136, E136
예상 원인: 실내기 전면 패널 동작 불량
조치 안내: 패널 주변 간섭 물건 제거, 전원 재부팅. - C135, E135
예상 원인: 청정팬 회전 속도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차단 후 재부팅. 안 되면 점검. - C138, E138
예상 원인: 실내기 냄새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뺐다 꽂기, 반복 시 점검. - C139, E139
예상 원인: 전열교환기 내부 공기 탁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초기화 후 반복 시 전문가 점검. - C140, E140, C196, E196, C197, E197
예상 원인: 실내기 먼지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연결, 안 되면 점검 요청. - C141, E141
예상 원인: 천장형 공기청정기 이산화탄소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내려 초기화. - C142, E142
예상 원인: 실내 습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안 되면 점검. - C143, E143
예상 원인: 실내 공간 감지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코드 뺐다 꽂고 해결 안 되면 전문가. - C149, E149
예상 원인: AHU 공조기 실내 온도 센서 설정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초기화 후 점검. - C151, E151, C152, E152, C156, E156, C157, E157
예상 원인: 냉매 흐름 조절 밸브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반복 시 점검. - C153, E153
예상 원인: 실내기 워터 펌프나 물높이 감지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내려 초기화, 개선 없으면 방문점검. - C154, E154, C155, E155, C176, E176
예상 원인: 실내기 팬모터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안 되면 점검 필요. - E158, E159
예상 원인: U-모션(자동 문 열림) 동작 부위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후 반복 시 전문가 점검. - C160, E160
예상 원인: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 내부 배수 펌프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안 되면 점검. - C162, E162
예상 원인: 에어컨 내부 회로 설정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코드 뺐다 꽂기. 안 되면 엔지니어 상담. - C163, E163
예상 원인: 전원 이상·정전 등으로 옵션 설정 오류
조치 안내: 모델명 확인 후 고객센터 문의. - C167, E167
예상 원인: 중앙제어기, 유선리모컨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설치점 혹은 관리자에게 재설정 요청. - C168, E168
예상 원인: 천정형 공기청정기 필터 커버 열림
조치 안내: 커버 제대로 닫힌 후 전원 재부팅. - C169, E169
예상 원인: AHU 공조기 밸브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171, E171
예상 원인: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 열교환기 배관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안 되면 점검. - C172, E172, C173, E173
예상 원인: 실내기 열교환기 배관 온도 센서 이탈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초기화 후 안 되면 점검. - C174, E174
예상 원인: 실내기와 전열교환기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177, E177
예상 원인: 수배관 DVM EHS에서 긴급 조치 필요
조치 안내: 전문가 점검이 권장됨. - C178, E178
예상 원인: 불안정 전원·정전 등으로 설정값 오류
조치 안내: 실내기 전원 재부팅. - C180, E180, C181, E181, C190, E190, C191, E191
예상 원인: 시스템 에어컨 MCU 장치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182, E182, C183, E183
예상 원인: 전열교환기 실내·실외 습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후 전문가 문의. - C184, E184
예상 원인: 수위 감지 센서 이상 (물통·이물거름망 문제 가능)
조치 안내: 물통 결합 상태·이물거름망 청소 후 전원 재부팅. - C192, E192
예상 원인: 실내기 커버 열린 상태
조치 안내: 커버 닫힘 확인 후 전원 재부팅. - C193, E193
예상 원인: 실내기 조작 스위치 회로 이상
조치 안내: 실내기 전원 코드 재부팅 후 점검. - C194, E194
예상 원인: 실내기 내부 전기 회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반복 시 점검.
📌 200번 ~ 2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에어컨의 200번 ~ 299번 점검(에러)코드에 대한 예상 원인과 조치 방법입니다.
- C203, E203
예상 원인: 실외기가 2대 이상 설치된 경우 통신 불량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안 되면 점검. - C204, E204
예상 원인: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 가스 흐름 조절 장치 대수 불일치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반복 시 전문가. - C205, E205
예상 원인: 실외기 내부 전기 회로와 송풍 팬 간 통신 불가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안 되면 점검. - C206, E206
예상 원인: 실외기 내부 전기 회로와 송풍 팬·내부 전원 회로 간 통신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전문 점검. - C210, E210
예상 원인: 실내기 MCU(가스 흐름 조절)와 실외기 통신 불가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끄고 켜기. - C219, E219, C220, E220
예상 원인: MCU 연결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안 되면 점검. - C221, E221, C226, E226
예상 원인: 실외 온도 측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전원 코드·누전차단기 확인, 반복 시 점검. - C224, E224
예상 원인: 냉각수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231, E231, C236, E236, C237, E237, C241, E241, C246, E246
예상 원인: 실외기 열교환기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반복 시 서비스 상담. - C251, E251, C256, E256, C257, E257, C258, E258
예상 원인: 압축기에서 압축된 가스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전원 확인, 안 되면 점검. - C261, E261, C262, E262, C263, E263, C264, E264
예상 원인: 압축된 에어컨 가스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안 되면 엔지니어. - C265, E265, C266, E266, C267, E267, C268, E268, C271, E281, C276, E276, C277, E277, C278, E278
예상 원인: 압축기 내부 하부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전원 코드 재체결 후 테스트. - C269, E269
예상 원인: 압축기로 들어가는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전원 코드 확인, 안 되면 점검. - C286, E286
예상 원인: 압축기 내부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전문가 문의. - C291, E291
예상 원인: 압축기 내부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전원 다시 껐다 켜기.
📌300번 ~ 3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에어컨의 300번 ~ 399번 점검(에러)코드에 대한 예상 원인과 조치 방법입니다.
- C301, E301
예상 원인: 압축기 내부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안 되면 점검. - C306, E306
예상 원인: 압축기 내부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반복 시 전문가. - C307, E307, C309, E309, C310, E310, C314, E314
예상 원인: 윤활유 분배 장치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내려 초기화. - C308, E308, C323, E323
예상 원인: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해결 안 되면 엔지니어. - C311, E311
예상 원인: 열교환기 표면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반복 시 점검. - C312, E312
예상 원인: 실외기 냉매 흐름 조절 솔레노이드 밸브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초기화. - C313, E313
예상 원인: 4way 밸브(포웨이 밸브)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315, E315, C316, E316, C317, E317
예상 원인: 실외기 장착 이상 전류 감지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안 되면 전문가. - C320, E320
예상 원인: 압축기 과부하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321, E321, C322, E322
예상 원인: 압축기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점검. - C324, E324, C325, E325
예상 원인: 팬모터 전류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330, E330, C331, E331, C332, E332, C333, E333, C334, E334
예상 원인: DVM 시스템 에어컨 가스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안 되면 점검. - C335, E335, C336, E336, C337, E337, C338, E338, C339, E339
예상 원인: DVM 시스템 에어컨 가스 배관 표면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346, E346, C347, E347, C348, E348, C353, E353, C355, E355
예상 원인: 실외기 송풍 팬 정상가동 불가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불가 시 점검. - C361, E361
예상 원인: 압축기가 기동 못 함 (전류 낮음)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점검. - C364, E364
예상 원인: 압축기 기동 못 함 (과전류)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다시 올리기. - C365, E365
예상 원인: 압축기 과부하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366, E366
예상 원인: 과전압·저전압 감지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후 안 되면 점검. - C367, E367
예상 원인: 압축기 제어 전기회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368, E368
예상 원인: 전류 측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369, E369
예상 원인: 전압 측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반복 시 점검. - C371, E371
예상 원인: 실외기 동작 설정 저장 장치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374, E374
예상 원인: 방열판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안 되면 점검. - C378, E378
예상 원인: 송풍팬 과전류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385, E385
예상 원인: 압축기 전류 측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387, E387
예상 원인: 송풍팬 회전수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388, E388
예상 원인: 압축기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다시 켜기. - C389, E389
예상 원인: 송풍팬 모터 과부하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391, E391
예상 원인: 송풍팬 제어회로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초기화 후 엔지니어 상담. - C393, E393
예상 원인: 송풍팬 모터 전류 측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396, E396
예상 원인: 송풍팬 제어 전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399, E399
예상 원인: 송풍팬 제어 회로 방열판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400번 ~ 4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에어컨의 400번 ~ 499번 점검(에러)코드에 대한 예상 원인과 조치 방법입니다.
- C400, E400
예상 원인: 압축기 제어회로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401, E401, C402, E402, C403, E403
예상 원인: 실내기 열교환기에 성에(얼음) 발생
조치 안내: 실외기 성에 제거, 보호 제어 동작. 정상화 안 되면 점검. - C404, E404, C405, E405, C406, E406
예상 원인: 실외기 열교환기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주변 환기 확인, 전원 초기화. - C407, E407, C408, E408, C409, E409
예상 원인: 고압 배관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환기 장애물 제거, 전원 재부팅. - C410, E410, C411, E411, C412, E412
예상 원인: 저압 배관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주변 통풍 개선, 초기화. - C413, E413, C414, E414, C415, E415
예상 원인: 압축기 윤활 오일 센서 고온 감지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반복 시 점검. - C416, E416, C417, E417, C418, E418
예상 원인: 압축 후 냉매 배관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장애물 제거 및 초기화. - C419, E419, C420, E420, C421, E421, C422, E422, C423, E423, C424, E424
예상 원인: 냉매 유량 조절 전동변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해결 안 되면 점검. - C425, E425, C426, E426, C427, E427
예상 원인: 3상 4선식(380 V) 전원 연결 불량
조치 안내: 전기 공사 담당 확인. 전원 재부팅. - C428, E428, C429, E429, C430, E430
예상 원인: 압축기 가스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점검. - C431, E431, C432, E432, C433, E433, C434, E434
예상 원인: 압축기 윤활유 움직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435, E435
예상 원인: 보일러 물 흐름 밸브 이상
조치 안내: 수배관 업체·설치 업체 문의 후 점검. - C437, E437
예상 원인: 압축기 윤활유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439, E439
예상 원인: 냉매 부족, 압력 센서 이상, 밸브 동작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안 되면 전문점검. - C440, E440
예상 원인: 실외 온도 30℃ 이상에서 난방 운전
조치 안내: 운전 모드 확인, 필요한 경우 초기화. - C441, E441
예상 원인: 실외 온도 -5℃ 이하에서 냉방 운전
조치 안내: 모드 변경 또는 전문가 상담. - C443, E443
예상 원인: 냉방 전 고압 측 압력 기준치 미달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45, E445
예상 원인: 압축기 아래쪽 열선·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46, E446
예상 원인: 실외기 송풍팬 가동 불가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447, E447
예상 원인: 송풍팬 전원 공급 부족
조치 안내: 분전반 초기화. - C448, E448
예상 원인: 송풍팬 회전수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49, E449
예상 원인: 중간 압력이 기준 이상·이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50, E450
예상 원인: 열교환기 표면 온도 센서 고온
조치 안내: 실외기 환기 확인 후 전원 껐다 켜기. - C451, E451
예상 원인: 저압 압력 기준 이상·이하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52, E452
예상 원인: 갑작스러운 정전·차단기 이상
조치 안내: 전원 복구 후 자연 해소. 안 되면 재부팅. - C453, E453
예상 원인: 실외기 팬 과열
조치 안내: 주변 환기 후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454, E454
예상 원인: 송풍 팬 회전 속도 낮음
조치 안내: 실외기 통풍 개선 후 초기화. - C455, E455
예상 원인: 송풍 팬 가동 전기 회로 과열
조치 안내: 실외기실 갤러리 창 열기, 전원 리셋. - C456, E456
예상 원인: 송풍 팬 모터 과전류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457, E457
예상 원인: 외부 바람 등으로 팬이 제대로 안 돌 때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458, E458
예상 원인: 송풍 팬 회전 불량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459, E459
예상 원인: 실외기 전기 회로 오류·과전류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60, E460
예상 원인: 실내·실외 통신선·전원선 이상
조치 안내: 초기화 후 안 되면 엔지니어. - C461, E461
예상 원인: 압축기 기동 실패·저전압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끄고 켜기. - C462, E462
예상 원인: 전기 장치 불안정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안 되면 전문가. - C463, E463
예상 원인: 압축기 온도 과열
조치 안내: 실외기 장애물 제거 후 전원 리셋. - C464, E464
예상 원인: 압축기 과전류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65, E465
예상 원인: 압축기 과부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66, E466
예상 원인: 실외기 전원 회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467, E467
예상 원인: 압축기 전원 공급·회전 불량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68, E468
예상 원인: 압축기 전류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69, E469
예상 원인: 전압 측정 센서 이상 전압 감지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70, E470
예상 원인: 실외기 마이컴 프로그램 이상
조치 안내: 전원 끄고 켜기. - C471, E471
예상 원인: 실내기 전기 회로 프로그램 오류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472, E472
예상 원인: 전원 주파수 비정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73, E473
예상 원인: 압축기 락킹(잠김)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474, E474
예상 원인: 전기회로 방열판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75, E475
예상 원인: 팬모터 회전수 목표치 불일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76, E476
예상 원인: 에어컨 가스 방향 밸브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전문점검 필요. - C477, E477
예상 원인: 액체 상태 가스 감지(증발 부족)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78, E478
예상 원인: 송풍팬 회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79, E479
예상 원인: 에어컨 가스 방향 밸브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83, E483
예상 원인: 실외기 전원 입력 과전압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484, E484
예상 원인: 역률조정장치 과전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85, E485
예상 원인: 실외기 공급 전류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86, E486
예상 원인: 송풍팬 모터 공급 전압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487, E487
예상 원인: 송풍팬 회전수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488, E488
예상 원인: 전기회로 전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89, E489
예상 원인: 송풍팬 과부하
조치 안내: 장애물 제거, 전원 재부팅. - C490, E490
예상 원인: 실외·실내 온도 0℃일 때 동작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92, E492
예상 원인: 송풍팬 제어회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93, E493
예상 원인: 송풍팬 전류 측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94, E494
예상 원인: 송풍팬 구속 (회전 불가)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95, E495
예상 원인: 송풍팬 과열
조치 안내: 실외기 환기 확인, 전원 껐다 켜기. - C496, E496
예상 원인: 송풍팬 제어 전압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497, E497
예상 원인: 송풍팬 과전류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498, E498
예상 원인: 송풍팬 제어회로 과열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499, E499
예상 원인: 송풍팬 제어회로 방열판 온도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500번 ~ 5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에어컨의 500번 ~ 599번 점검(에러)코드에 대한 예상 원인과 조치 방법입니다.
- C500, E500
예상 원인: 압축기 제어회로 방열판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실외기 주변 환기 확인 후 전원 재부팅. - C503, E503
예상 원인: 서비스 밸브 잠김 상태 가동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안 되면 점검. - C505, E505
예상 원인: 고압 배관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506, E506
예상 원인: 저압 배관 압력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508, E508
예상 원인: 설치 후 스마트인스톨 미진행
조치 안내: 설치 기사에게 설치 절차 완료 문의. - C515, E515
예상 원인: 컨트롤 박스 내부 온도 과열
조치 안내: 실외기 주변 통풍 개선, 전원 재부팅. - C516, E516
예상 원인: 컨트롤 박스 내부 송풍팬 미가동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551, E551
예상 원인: 난방 시 제상 운전(성에 제거)
조치 안내: 자동 전환 기능, 고장 아님. 전원 재부팅 시도. - C552, E552
예상 원인: 낮은 압력 감지 (압축기 압력)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554, E554
예상 원인: 냉매 부족으로 압축기 미가동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안 되면 냉매 보충 점검. - C555, E555
예상 원인: 윤활 오일 회수 모드
조치 안내: 정상 동작(고장 아님). 전원 재부팅. - C556, E556
예상 원인: 실내기·실외기 용량 설정 불일치
조치 안내: 설치기사 설정 점검. - C557, E557
예상 원인: DPM 리모컨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설치기사 재설정 필요. - C559, E559
예상 원인: 원인 미상 체크코드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안 되면 점검. - C560, E560
예상 원인: 실외기 용량 정확히 입력되지 않음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561, E561
예상 원인: ERV(전열교환기) 외기 흡입 팬 회전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점검. - C562, E562
예상 원인: ERV 실내 흡입 팬 회전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563, E563
예상 원인: 시스템 에어컨 실내기 조합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564, E564
예상 원인: 천정형 공기청정기 송풍 팬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565, E565
예상 원인: 압축기 전원회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점검. - C570, E570
예상 원인: 압축기 기동 실패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해결 안 되면 점검. - C573, E573
예상 원인: 실외기 조합 미설정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574, E574
예상 원인: 에어컨 가스 누설·부족
조치 안내: 냉매 누설 점검 필요. - C575, E575
예상 원인: 에어컨 가스 누설·부족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후 점검. - C590, E590, C591, E591, C592, E592, C593, E593, C594, E594, C595, E595, C596, E596
예상 원인: 압축기 제어 전기회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안 되면 전문가 점검.
📌600번 ~ 6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 C601, E601
예상 원인: 시스템 에어컨 유선리모컨-실내기 통신 불가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602, E602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 2개 이상 연결 시 통신 불량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03, E603
예상 원인: 실내기-실외기 간 통신 속도 불일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604, E604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실내기 통신 10회 이상 실패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605, E605
예상 원인: 주간스케줄러-중앙제어기 통신 오류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606, E606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 내부 통신선 엇갈림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안 되면 설치기사 확인. - C607, E607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 마스터/슬레이브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후 설정 확인. - C608, E608
예상 원인: 전열교환기 외부 제어기가 설치되지 않음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609, E609
예상 원인: 실내기 외부 제어기 미설치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610, E610
예상 원인: 중계기-중앙제어기 간 통신 불가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재부팅. - C611, E611
예상 원인: DMS-중계기 간 통신 불가
조치 안내: DMS 전원 상태 확인, 전원 재부팅. - C612, E612
예상 원인: DMS-PEAK 중계기 간 통신 불가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613, E613
예상 원인: DMS-PIM/SIM 중계기 통신 불가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614, E614
예상 원인: 전력량계-중계기 통신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15, E615
예상 원인: 중계기-실내기 통신 불가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616, E616
예상 원인: 중계기-실외기 간 통신 불가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초기화. - C617, E617
예상 원인: 전력 통제 장치-중계기 간 통신 불가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18, E618
예상 원인: 실내기 최대 설치 대수 초과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설치 세팅 확인. - C619, E619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 온도 단위 설정 충돌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20, E620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 온도 단위 설정(섭씨/화씨) 오류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 C621, E621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 마스터/슬레이브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22, E622
예상 원인: 디맨드 컨트롤러-전력량계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623, E623
예상 원인: 디맨드 컨트롤러 전력 비율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24, E624
예상 원인: 디맨드 컨트롤러-전력량계 데이터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설치 점검. - C625, E625
예상 원인: DMS 2대 이상 연결 시 통신 오류
조치 안내: DMS 전원 확인, 전원 재부팅. - C626, E626
예상 원인: ERV 전용 리모컨/시스템 에어컨 리모컨 혼선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27, E627
예상 원인: 유선 액정 리모컨 복수 연결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628, E628
예상 원인: DMS-중계기 간 신호 불가
조치 안내: DMS 전원 확인, 전원 재부팅. - C629, E629
예상 원인: DMS-BACnet 전력제어 통신 불가
조치 안내: DMS 전원 확인, 전원 재부팅. - C630, E630
예상 원인: ERV 보통 환기 미지원 옵션 설정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31, E631
예상 원인: ERV 자동 환기 미지원 옵션 설정
조치 안내: 전원 껐다 켜기. - C632, E632
예상 원인: 전력 분배기 설정값 초과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633, E633
예상 원인: 유선 액정 리모컨에 미지원 기기 연결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52, E652
예상 원인: DMS 2대 이상 연결 설정 오류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후 재설정. - C653, E653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 온도 센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654, E654
예상 원인: 유선리모컨 내부 회로, ERV 풍량 날개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초기화. - C655, E655
예상 원인: DMS-SNET 통신 오류
조치 안내: DMS 전원, 전원 껐다 켜기. - C656, E656
예상 원인: DMS-PC 제어 S-net 데이터 오류
조치 안내: DMS 전원 확인, 전원 재부팅.
📌 700번 ~ 7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에어컨의 700번 ~ 799번 점검(에러)코드에 대한 예상 원인과 조치 방법입니다.
- C701, E701
예상 원인: 실내기 물받이 물높이 센서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내려 초기화. - C702, E702
예상 원인: 실내기 전동변(냉매량 조절)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 C703, E703
예상 원인: 실내기 전동변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초기화. - C720, E720, C721, E721, C722, E722, C723, E723, C724, E724, C725, E725
예상 원인: 실외기 전동변(냉매량 조절) 이상
조치 안내: 전원 재부팅, 안 되면 점검 필요. - C768, E768
예상 원인: DMS와 PC 제어 S-net 데이터 오류
조치 안내: DMS 전원 확인, 전원 재부팅.
📌800번 ~ 8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에어컨의 800번 ~ 899번 점검(에러)코드에 대한 예상 원인과 조치 방법입니다.
- C801, E801 ~ C805, E805, C806, E806, C807, E807, C808, E808, C809, E809, C810, E810, ... C876, E876 ...
가스식 시스템 에어컨(GHP)에서 실외기/실내기/중계기 간 통신선 이상, 센서 이상, 가스엔진/팬모터 이상, 냉각장치 이상 등이 있을 때 나타나는 코드들입니다.
조치 안내:- 1) 분전반에서 에어컨 전원이 연결된 누전 차단기를 내렸다가 다시 올려 제품 초기화
- 2) 반복 발생 시 고객센터(☎ 1588-3366) 문의
📌 900번 ~ 999번, 에어컨 점검 코드
에어컨의 900번 ~ 999번 점검(에러)코드에 대한 예상 원인과 조치 방법입니다.
- C901, E901 ~ C915, E915
Water DVM에서 수배관 온도 센서 이상, 물탱크 히터, 수배관 동결 위험, 순환 스위치 이상 등
조치 안내:- 1) 분전반에서 에어컨 전원을 내렸다 올려서 초기화
- 2) 반복 시 전문가 상담 혹은 설치 업체 점검
- C998, E998
예상 원인: 제품과 리모컨 간 블루투스 연결 이상
조치 안내: 분전반 전원 껐다 켜기, 해결 안 되면 엔지니어 점검.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에러코드가 계속 사라지지 않아요.
전원(실내기/실외기)을 완전히 끄고 5~10분 후 다시 켜보세요. 그래도 반복되면 내부 부품 점검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에게 문의하세요.
Q2. 혼용 운전 에러(C161, E161)가 자주 나옵니다.
한 실외기에 여러 실내기가 연결된 경우, 서로 다른 운전 모드(냉방/난방)로 작동하면 표시될 수 있습니다. 동일 모드로 통일해 운전해주세요.
Q3. 배수펌프 소음이 큰 편인데 괜찮나요?
배수펌프는 냉방/제습 운전 중 발생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해 동작합니다. 일시적으로 “윙~” 하는 소리가 날 수 있으나 정상 동작음입니다. 소음이 너무 크면 필터·펌프 청소나 점검을 받아보세요.
Q4. 필터 청소 알림이 자주 뜹니다.
먼지거름필터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면 자주 알림이 뜰 수 있습니다. 2주에 한 번 정도는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중성세제로 씻은 후 그늘에서 충분히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Q5. 보증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보통 1년 기본 보증, 핵심 부품은 최대 3년까지 보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구매 시 제공된 보증서나 영수증을 확인해 주세요.
Q6. 겨울 난방 시 실외기에 서리가 많이 껴요.
난방 시 실외기 주변 온도 차로 성에가 끼는 것은 정상입니다. 제품이 자동으로 ‘제상 운전’하여 성에를 녹이므로 고장 걱정은 없으셔도 됩니다.
Q7. 전문 세척과 일반 세척의 차이점은?
전문세척은 고압·스팀 세척기 등으로 내부 틈새까지 깨끗이 청소하는 것이고, 일반세척은 친환경 스프레이 등으로 주요 부위 먼지를 닦아내는 방법입니다. 오염이 심하면 전문세척을 추천합니다.
Q8. 소리가 “쏴~”, “쉬이익” 하며 크게 들려요.
냉매가 배관을 지나는 소리, 압력 변동 소리일 수 있습니다. 운전 초기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소음이라면 정상 범주입니다.
Q9. 에러코드가 간헐적으로만 뜨는데 계속 신경 쓰여요.
전원 환경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하면 나타났다 사라질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전원 차단·초기화를 시도하고, 반복 시 점검받으세요.
Q10. 서비스센터나 출장점검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공식 홈페이지나 고객센터(☎ 1588-3366)를 통해 예약할 수 있습니다. OOO 서비스센터 위치를 확인하고 방문·출장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삼성전자 시스템 에어컨에서 표시되는 다양한 에러코드를 모두 정리해 보았습니다. 단순 전원 리셋으로 해결되는 경우도 많지만, 반복되는 오류는 전문 점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정과 사업장에서 언제나 쾌적한 환경을 위해, 계속 문제가 발생하면 서비스 센터나 전문가를 통해 점검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삼성전자서비스
제품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해결 방법, 사용 설명,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ww.samsungsvc.co.kr
#삼성전자에러코드 #시스템에어컨 #에러코드해결 #삼성전자서비스센터 #에어컨고장 #에어컨관리 #삼성전자고객센터 #에어컨에러 #시스템에어컨점검 #삼성전자보증기간
'정보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제습기 에러 해결 가이드 ⚒ (0) | 2025.03.04 |
---|---|
멜킨스포츠 A/S 방법 및 고객센터 이용 가이드 (0) | 2025.03.03 |
삼성전자 스탠드 에어컨 에러코드 해결 방법 정리 🔧 (0) | 2025.03.03 |
삼성전자 정수기 에러 해결 가이드 🔧 (0) | 2025.03.03 |
삼성전자 식기세척기 에러코드 해결 가이드 ⚒ (0) | 2025.03.02 |